윤석열 정부의 당선공약 중 하나인 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소득 조건,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능 여부를 알아봅니다. 이번에 자산 자격 상승에 따라 생활 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 입니다. 5년을 동안 매달 납입하면 만기 때 정부 기여금을 더해 약 5,000만원 이상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적금 상품입니다. 본문에서 2023년 청년도약게좌 신청기간부터 가입조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

  • 신청기간 : 2023년 6월 중

언론에 공개된 것처럼 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국민은행,하나은행,기업은행,농협은행,신한은행,SC제일은행 등 1금융권 등에서 가입 가능합니다.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일정 비율의 정부 기여금을 지원하고,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소득 등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적용할 예정이 될 것 같고 병역이행을 한 경우 병역이행 기간은 최대 6년으로 연령 계산 시 미산입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청도계 관련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실 분은 카톡 채널을 친추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카톡하기

 

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자산 형성 및 자립을 지원하는 청년 사업으로 월 40~70만 원 5년간 납입하면 정부에서 매칭해 5천만 원의 목돈을 만들어주는 적금 상품입니다. 가입자 대상 조건은 만 19세 ~ 34세 청년(병역 이행 기간은 연령 계산 미산입)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월 임금: 3,500,662)(가구 소득까지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가구 소득과 관련된 가구원의 범위는 본인의 주민등록 등본에 등재된 가족으로 신청자의 직계존비속, 형제, 자매가 어떻게 포함될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청도계 가입조건 확인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많은 분들이 청년도약계좌랑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이 되는지 갈아타기 가능한지 여부를 궁금해 합니다. 안타깝지만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아직 정확한 내용은 안 나와서 답변 드리기 어렵습니다. 다만, 지난해 시행된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하게 운영될 것으로 보기에 정부 기여금 또한 예상 합니다. 참고로 ​ 청년희망적금 작년 3월 기준 30만 명 정도 해지했습니다.

+ Recent posts